본문 바로가기
Anatomy

소흉근 (Pectoralis Minor) 역할과 통증 원인

by 아쟛 2022. 12. 31.

가슴 근육은 두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대흉근과 소흉근입니다. 소흉근은 대흉근 아래에 있는 작은 근육으로 호흡에 관여하며 견갑골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는 근육입니다.

 

소흉근 (Pectoralis Minor)

소흉근은 작은 가슴근이라고도 합니다. 시작은 3~5 늑골에 붙어서 견갑골의 오구돌기에 붙습니다. 오구돌기는 부리같이 생겼다고 해서 부리돌기라는 말도 있습니다.

늑골에서 오구돌기까지 대각선으로 생긴 근육이며 내측흉신경과 외측흉신경에 지배를 받습니다.

늑골에 붙어있기 때문에 흡기 시에 호흡을 보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소흉근의 기능

견갑골을 앞, 아래, 안쪽으로 당기는 역할을 합니다. 대각선으로 부착되어 있는데 부착되어 있는 반대로 움직인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소흉근이 강하게 수축할 때 관절오목을 앞쪽 아래로 이동시킵니다. 그로 인해 견갑골 하각이 들려서 익상견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전거근은 견갑골 내측연에 붙어있기 때문에, 전거근에 의한 익상견갑은 견갑골 전체가 뜹니다.

하지만 소흉근은 견갑골의 오구돌기에 붙어 있기 때문에, 소흉근에 의한 익상견갑은 견갑골의 하각이 뜨게 됩니다.

호흡에 관여하는 근육이 여러 가지가 있는데, 횡격막, 견갑거근, 상부승모근, 흉쇄유돌근, 늑간근과 함께 소흉근은 흡기 때 보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강하게 숨을 들이마 쉴 때는 소흉근이 쓰이지만 정상적인 호흡에서는 작용하지 않습니다.

대흉근을 보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소흉근의 통증유발점으로 인한 통증 양상

어깨 앞쪽이나 쇄골아래 앞가슴 부위 전체에 통증을 유발합니다.

더 넓게 방사되는 경우 팔안쪽과 3~5번째 손가락까지 확산될 수 있습니다.

손끝이 통증이 있다 보니 심장질환이나 목디스크로 잘못 이해할 수 있습니다.

 

소흉근의 통증유발점으로 인한 통증 증상

팔을 들기가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관절의 가동 범위가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가슴이 결리고 쥐어짜는 듯한 통증을 느낍니다.

흉곽탈출증후군을 겪을 수 있습니다. 이것은 소흉근이 과도하게 단축되어서 소흉근 사이를 지나가는 신경과 혈관이 자극받아서 저리거나 차가운 증상을 이야기합니다.

 

소흉근이 손상되는 원인

실제로 심근허혈과 같은 심장질환으로 인하여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각근, 대흉근의 손상으로 함께 손상될 수 있습니다.

외상이나 골절, 교통사고로 인하여 경추가 손상되거나 목발을 잘못 사용할 때에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심한 기침을 하는 것도 포함됩니다.

가장 중요한 원인은 라운드숄더입니다. 등을 숙이거나 구부정하게 젖혀서 앉는 습관에 의해서 손상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