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각근 사이로는 신경이 지나가기 때문에 뭉쳤을 경우 임상적인 증상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호흡과도 연관이 깊은 사각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사각근(목갈비근, Scalenus)
사각근은 The Entrappers(신경올가미)라는 별명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사각근 사이로 상완신경총이라는 신경이 지나가는데 사각근이 이 신경을 올가미처럼 옭아맨다는 뜻에서 붙여진 별명입니다. 사각근 사이로는 신경이 지나감에 따라 사각근 증후군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입니다.
사각근은 전부, 중부, 후부로 나뉠 수 있습니다.
전부의 시작은 C3~C6의 횡돌기, 중부는 모든 경추의 횡돌기, 후부는 C5~C7의 횡돌기에 붙습니다.
사각근은 모두 경추에 붙어서 시작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끝은 중부와 전부는 제1늑골, 후부는 제2늑골입니다.
경추에서 시작해서 첫 번째, 두 번째 갈비뼈에 붙어있는 근육이 사각근입니다.
사각근의 역할
갈비뼈가 고정되어 있을 때와 경추가 고정되어 있을 때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갈비뼈가 고정되어 있을 때>
한쪽만 작용 - 목을 옆으로 굽힙니다. 그런데 사각근은 앞에 있기 때문에 머리를 비스듬하게 앞으로 굴곡시킵니다.
양쪽 작용 - 목의 굴곡을 도와줍니다.
<경추가 고정되어 있을 때>
호흡에 관여하는데 흡기일 때 일차적으로 쓰입니다.
숨을 들이마 쉴 때 사각근은 횡격막, 늑간근과 함께 작용하며 흉쇄유돌근의 도움을 받습니다.
사각근은 호흡 시 상부 갈비뼈를 위로 올려줍니다.
호흡이 힘들 때 상부승모근과 견갑거근과 함께 어깨를 올리는 역할을 합니다.
호흡을 하게 되면 상부 갈비뼈는 위로, 하부 갈비뼈는 옆으로 움직이게 됩니다. 상부 갈비뼈가 너무 올라가는 비정상 호흡이 있다면 사각근과 흉쇄유돌근을 풀어주어야 합니다.
사각근의 통증 패턴
사각근의 통증은 전사각근, 중사각근, 후사각근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전사각근 TP>
- 견갑골 안쪽에서 상부통증을 유발하며 어깨를 아프게 합니다.
- 목디스크처럼 예리하게 쑤시는 통증이 있습니다.
- 같은 쪽으로 회전하거나 목을 옆으로 굴곡할 때 통증이 커집니다.
<중사각근 TP>
- 팔, 전완, 엄지와 검지 손가락까지 통증이 방사됩니다.
- 목 디스크로 잘못 생각하기 쉽습니다.
<후사각근 TP>
- 어깨 앞면이나 가슴 앞부분에 통증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협심증과 같은 심장질환으로 오인하기 쉽습니다.
사각근 촉진 및 스트레칭
사각근은 흉쇄유돌근과 상부승모근 사이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목과 쇄골 사이로 손을 깊이 집어넣어서 촉진할 수 있습니다. 스트레칭을 할 때는 목을 뒤로 약간 젖힌 후에 옆으로 머리를 기울여주면 됩니다.
사각근이 손상되는 원인
- 교통사고와 같이 갑작스러운 편타성 손상이 있을 경우입니다. 편타성 손상은 갑자기 머리를 굴곡과 신전이 되는 걸 이야기하는데 이로 인해 근육이나 인대가 찢어질 수 있습니다.
- 큰 힘을 써서 당기거나 드는 동작을 자주 하는 것입니다.
- 과호흡이나 잘못된 호흡, 돌발적으로 기침을 하면서 어깨가 들썩거리는 경우입니다.
- 천식이나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의 경우입니다.
- 습관적으로 목을 옆으로 굴곡시키는 경우 사각근이 짧아져서 손상이 될 수 있습니다.
임상적 증상
사각근 사이로 상완신경총이 지나갑니다. 사각근뿐만 아니라 소흉근 사이로도 상완신경총과 쇄골하동맥, 쇄골하정맥이 지나갑니다. 그래서 올바르지 못한 자세나 근육의 통증유발점으로 인해 신경과 혈관이 압박된다면 신경학적, 혈관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손의 부종이나 저림, 혈액순환 장애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합니다.
'Anat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능형근 (Rhomboid) 역할과 통증 원인 (0) | 2022.12.31 |
---|---|
전거근 (Serratus anterior) 역할과 통증 원인 (0) | 2022.12.30 |
견갑거근 (Levator scapulae) 역할과 통증 원인 (0) | 2022.12.29 |
흉쇄유돌근 (Sternocleidomastoid) 역할과 통증 원인 (0) | 2022.12.29 |
승모근 : 통증 증상과 해결 방법 (1) | 2022.1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