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능형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리가 자고 일어났을 때나 컴퓨터 작업을 하던 도중 등이 담 걸린 것 같이 쑤시다는 경험을 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그 원인인 근육이 능형근입니다.
능형근 (Rhomboid)
능형근은 대능형근과 소능형근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런데 둘이 작용이나 위치가 비슷하기 때문에 굳이 따로 구별을 하지는 않습니다.
대능형근은 T1~T5의 극돌기에서 시작하여 견갑골의 극삼각에서 견갑극근 하각까지 부착됩니다.
소능형근은 C7~T1의 극돌기에서 시작하여 견갑골의 내측면에 붙습니다.
그래서 능형근은 C7~T5까지 척추부터 시작하여 견갑골에 붙은 근육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능형근의 역할
<한쪽만 작용>
극돌기가 고정되었을 때, 능형근이 수축하게 되면 견갑골을 올리고 안으로 모으는 내전과 하방회전의 역할을 합니다.
견갑골이 고정되어 있을 때, 척추를 당겨서 측만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
<양측 작용>
극돌기가 고정되었을 때, 견갑골을 안으로 모으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견갑골을 흉곽에 유지시킴으로써 익상견갑을 예방합니다.
능형근은 견갑골의 거상, 내전, 하방회전의 역할을 합니다.
능형근과 함께 견갑골의 거상에 쓰이는 근육은 견갑거근, 상부승모근이 있습니다.
능형근의 통증유발점으로 인한 통증 양상
주로 견갑골과 척추기립근 사이에 통증을 유발합니다.
간혹 견갑골 위쪽, 극상근까지 확산되기도 합니다.
능형근의 통증유발점으로 인한 통증 증상
견갑골 내측, 척추와 견갑골 사이가 쑤시며 담이 든 것 같은 답답한 증상이 있습니다.
가만히 휴식을 취하고 있어도 쑤시는 통증이 나타납니다.
어깨를 돌렸을 때 딱, 우두둑하는 소리가 납니다.
능형근의 손상 원인
주로 이완성 손상이 많습니다. 등을 둥글게 하고 구부정한 자세로 장시간 컴퓨터 작업을 할 경우 손상되기 쉽습니다.
그리고 굽은 어깨나 척추 후만이 있는 경우도 능형근이 장시간 이완되기 때문에 손상될 수 있습니다.
단축성 문제로는 등을 과하게 펴는 습관이 있습니다.
능형근 통증 해결방법
통증유발점을 잡고 견갑골을 외전 시켜 줍니다. 손을 잡고 쭉 뻗어서 등을 둥글게 늘려줍니다.
등을 구부정하게 있는 자세를 고치고 스트레칭 후에는 능형근을 강화시켜주는 운동을 해줍니다.
'Anat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극상근 (Supraspinatus) 역할과 통증 원인 (0) | 2023.01.01 |
---|---|
소흉근 (Pectoralis Minor) 역할과 통증 원인 (0) | 2022.12.31 |
전거근 (Serratus anterior) 역할과 통증 원인 (0) | 2022.12.30 |
사각근 (Scalenus) 역할과 통증 원인 (0) | 2022.12.29 |
견갑거근 (Levator scapulae) 역할과 통증 원인 (0) | 2022.12.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