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natomy

견갑하근 (Subscapularis) 역할과 통증 원인

by 아쟛 2023. 1. 1.

견갑하근은 어깨 안정화를 담당하는 회전근개 중 하나이며, 유일하게 앞쪽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오십견이라는 별명이 있을 만큼 어깨를 굳게 만들 수 있는 근육입니다. 견갑하근이 손상되었을 때 대부분의 어깨 움직임을 제한할 만큼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견갑하근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견갑하근 (어깨밑 근, Subscapularis)

팔이 빠지지 않도록 어깨를 안정되게 잡아주는 회전근개는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견갑하근 총 4개입니다. 이중에 나머지는 모두 상완골의 대결절에 붙는데, 견갑하근은 상완골의 소결절에 부착합니다.

 

Frozen shoulder(동결견) 오십견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만큼 어깨를 굳고 움직이지 못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견갑하근의 시작은 견갑하와, 어깨 밑 오목에서 시작하며 끝은 상완골의 소결절입니다.

 

견갑하근은 대흉근과 근육의 방향이 다르며 이는 기능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아래 내용에서 더 다루어 보겠습니다.

 

견갑하근의 역할 및 기능

모든 회전근개는 견관절의 안정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어깨의 전방전위, 어깨가 앞쪽으로 밀리는 것을 예방합니다.

대흉근과 견갑하근의 방향이 다르다고 했습니다. 대흉근이 과도하게 발달하게 된다면 팔이 앞쪽으로 밀리는 전방전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견갑하근은 팔의 내회전의 역할을 합니다.

삼각근과의 관계를 보았을 때, 삼각근은 팔을 위로 당기고 견갑하근은 반대로 당기기 때문에 상방 전위, 팔이 위로 들리는 것을 예방해주는 기능을 합니다.

 

견갑하근의 통증유발점으로 인한 통증 양상 및 증상

견관절, 어깨뼈 뒤쪽과 손목 앞뒤로 띠를 두른듯한 통증 양상을 보입니다. 이러한 통증 양상 때문에 손목의 문제로 잘못 생각할 수 있습니다.

 

수면을 방해할 정도로 휴식을 취할 때나 움직일 때도 통증이 있습니다.

팔을 벌릴 때마다 아프며 어깨 관절의 대부분 움직임, 외전, 외회전, 내회전 모두를 제한하게 됩니다.

 

견갑하근의 손상 원인

오십견이 있거나 견갑부 부근이 손상이 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테니스, 핸드볼 같이 던지는 활동을 과하게 할 경우에도 손상될 수 있습니다.

탈구가 되거나 장기간 동안 어깨를 고정할 때에도 통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견갑하근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견갑하근은 회전근개 중에 유일하게 부착지점이 앞쪽에 있는 근육이며 손상 시에 대부분의 어깨관절의 움직임을 제한하게 됩니다. 손목의 문제로 오인하는 통증이 있으며 상완골의 전방전위, 상방전위를 예방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