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natomy

대원근 ( Teres Major) 역할과 통증 원인

by 아쟛 2023. 1. 1.

대원근은 광배근의 쌍둥이 근육으로 작용이 같습니다. 대원근이 뭉치면 팔을 들기 어려워집니다. 대원근이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 역할은 무엇인지, 통증 원인과 증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대원근 (큰 원근, Teres Major)

대원근은 상완골에 작용하는 기능이 광배근과 같습니다.

대원근의 시작은 견갑골의 하각과 외측연 하부 1/3에 부착되어 끝은 상완골의 이두근구 내측연에 붙습니다.

 

상완골은 대결절과 소결절이 있는데 이 사이를 이두근구라고 이야기합니다. 대원근은 팔의 앞면, 전면에 붙어있습니다.

신경은 견갑하신경에 지배를 받습니다.

 

근육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대원근은 광배근 바로 위에 위치해 있습니다. 대원근 위로는 소원근이라는 회전근개 근육이 있습니다. 대원근과 소원근 사이에는 삼두박근의 장두가 지나갑니다. 이 사이로 신경이 지나가는 길이 됩니다.

 

대원근의 역할 및 기능

대원근은 팔의 내회전, 내전, 신전의 기능을 합니다. 광배근과 삼두의 장두가 팔의 신전과 내회전을 함께합니다.

주로 톱질을 하거나 수영을 할 때 많이 광배근을 도와서 많이 쓰이는 근육입니다.

서로 협동하여 작용하다 보니 함께 통증유발점(TP)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원근의 통증유발점으로 인한 통증 양상 및 증상

대원근에 통증유발점이 생기면 어깨, 팔, 전완 뒷부분에 통증이 있습니다. 하지만 팔꿈치와 손목에는 통증이 없는 것이 다른 근육과 구별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가만히 있을 때는 괜찮지만 움직일 때 통증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대형차를 자주 운전하면서 핸들을 안쪽으로 돌릴 때, 팔을 머리 위로 올릴 때 통증이 발생합니다.

팔을 머리 위로 들어 올리는 동작은 어깨의 굴곡을 하는 것인데, 이것의 가동성이 떨어진다는 것의 대표적인 원인은 대원근입니다. 대원근 다음에는 광배근이 원인이 됩니다.

 

대원근의 손상 원인

장시간 동안 운전을 하는 경우나 상완의 강한 회전이 있을 때 근육의 염좌가 발생하게 됩니다.

버스나 지하철 이용 시, 머리 위로 손잡이를 잡고 있을 때 급정거하게 되면서 손상이 될 수 있습니다.

교통사고로 인해 급하게 핸들을 돌릴 때 통증유발점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대원근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대원근은 광배근과 같은 기능을 한다는 것을 기억하고 팔을 들어 올리는 것이 힘들다면 대원근의 문제일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