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층에 있는 척추기립근은 요통이라는 별명을 가질 만큼, 허리통증에 주된 원인이 됩니다. 척추기립근이 튼튼해야 허리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 표층에 있는 척추기립근의 역할과 기능, 통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표층 척추기립근 (Superficial Erector Spinae)
척추기립근은 Lumbago라는 별명이 있습니다. Lumbago의 뜻은 '요통'입니다.
표층에 있는 척추기립근은 장늑근 (엉덩갈비근, iliocostalis), 최장근 (가장 긴 근, longissimus)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장늑근은 말 그대로 천골과 장골에 붙고 갈비뼈 전체에 붙습니다. 척추와 목에도 붙습니다.
최장근은 천골, 장골능, 갈비뼈, 요추의 극돌기와 횡돌기에 다 붙습니다.
척추기립근의 역할 및 기능
기립근은 양쪽 모두 작용 시에 척추를 신전시킵니다. 척추기립근이니까 척추를 기립시키는, 펴주는 역할을 합니다.
한쪽만 작용할 경우 같은 방향으로 몸통을 회전시킵니다.
척추가 90도로 굴곡할 때 최대로 작용합니다.
호흡의 끝부분, 흡기에 더 작용합니다.
왼손을 쓸 때는 오른쪽이 작용하고, 오른손을 쓸 때는 왼쪽이 작용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척추기립근의 통증유발점으로 인한 통증 양상 및 증상
- 흉장늑근
- T6
견갑골 하각에 집중된 통증을 방사합니다. 가슴 앞쪽으로 확산되기도 합니다.
몸통을 돌릴 때 결리며 심호흡이 제한됩니다. 협심증으로 느끼기도 합니다.
- T11
요장늑근과 흉장늑근이 만나는 부위로서 아래쪽 늑골 하복부에 통증이 있으며 견갑골까지 확산되기도 합니다.
충수염이나 늑간신경통으로 오인하기 쉬운 통증입니다.
- L1
엉덩이 중앙, 고관절에 통증이 발생합니다.
12번째 늑골과 외측 엉덩이, 허리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 흉최장근
- T10,11
엉덩이 아래에 좌골 결절부위, 바닥에 닿는 엉덩이가 아픈 통증을 경험합니다.
- L1
장골능과 L2~L3 부위의 통증이 있습니다.
의자에서 일어날 때도 계단을 오르내릴 때도 아픕니다.
한쪽만 긴장이 될 경우 같은 쪽 중둔근을 약화시킵니다.
척추기립근의 손상 원인
갑작스러운 과부하나 반복적인 미세한 충격에 의해서 손상될 수 있습니다.
척추의 굴곡과 회전을 같이하는 동작을 할 경우 갑작스러운 부정확한 움직임이 있을 때 통증유발점이 생길 수 있습니다.
하지의 길이나 골반 크기가 불일치하는 경우가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한쪽 주머니에 폰이나 지갑을 넣고 다니면 골반불균형으로 인해 초래될 수 있습니다.
표층 척추기립근은 허리통증을 일으키는 주범이며 갑작스러운 움직임이나 과부하, 체형불균형이 있을 때 통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Anat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방형근 (Quadratus Lumbolum) 역할과 통증 양상 (0) | 2023.01.06 |
---|---|
심층 척추기립근 (Deep erector spinae) 역할과 통증 원인 (0) | 2023.01.06 |
복사근 (Oblique), 복횡근 (Transverse abdominis) 역할과 통증 원인 (0) | 2023.01.04 |
복직근 (Rectus Abdominis) 역할과 통증 원인 (0) | 2023.01.04 |
늑간근 (Intercostalis) 역할과 통증 원인 (0) | 2023.0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