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natomy

복사근 (Oblique), 복횡근 (Transverse abdominis) 역할과 통증 원인

by 아쟛 2023. 1. 4.

복사근과 복횡근은 복부 근육으로 모두 복압을 상승시켜 척추안정화의 역할을 합니다. 갈비뼈에 붙어 있기 때문에 호흡에도 관여하는 근육입니다. 복사근은 외복사근, 내복사근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 복사근, 복횡근에 대해서 하는 역할과 부착지점, 통증 원인과 양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복사근 (Oblique), 복횡근 (Transverse abdominis)

 

  • 외복사근

외복사근은 5~12번째 늑골에서 기시하여 장골능 전면, 복건막에 정지합니다.

T5~T12 늑간신경에 의해 지배를 받으며 근육의 방향은 사선으로 뻗어 있으며 밖에서 안쪽으로 주행합니다.

외복사근이 작용하면 갈비뼈를 좁게 만드는 작용을 합니다.

 

  • 내복사근

내복사근은 서혜부 인대, 장골능 흉오부근막에서 기시하여 10~12번째 늑골의 늑연골과 백색선에서 정지합니다.

T10~L1 갈비사이신경에 의해 지배를 받으며 외복사근과 마찬가지로 근육의 방향이 사선입니다.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는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내복사근은 갈비뼈를 벌려주고 외복사근보다 몸통 굴곡에 더 작용하는 근육입니다.

 

  • 복횡근

복횡근은 7~12번째 늑연골과 장골능, 서혜인대에 기시하여서 검상돌기, 백색선, 치골결절에 정지합니다.

T7~T12 늑간신경에 의한 지배뿐만 아니라 장골하복신경, 장골서혜신경에 의해서도 지배를 받기 때문에 복횡근은 독립적으로 수축할 수 있습니다.

 

복부 근육들 간의 관계에서는 외복사근이 가장 바깥에 위치하며 외복사근 아래에 내복사근이 위치합니다.

그다음 복직근이 복횡근의 위에 있지만, 복직근의 하부는 복횡근보다 뒤쪽에 있습니다.

 

복사근, 복횡근의 역할 및 기능

복사근은 양측이 함께 작용하면서 복압을 상승시키며 몸통을 굴곡시킵니다.

외복사근은 척추를 반대방향으로 돌아가게 하며 내복사근은 척추를 같은 방향으로 돌아가게 합니다.

허리를 옆으로 기울이는 측방굴곡은 내복사근이 더 강하게 작용합니다.

복횡근의 수축도 복압을 증가시키게 됩니다.

 

복부 근육의 공통적으로 작용하는 부분은 호흡 시에 호기를 잘 되게 합니다. 그리고 배 주변에 정맥혈의 순환이 원활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복부 근육의 통증 유발점으로 인한 통증 증상 및 양상

  • 외복사근 상부

검상돌기, 아래가슴에 집중된 통증이 발생합니다. 아래복직근까지 확산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답답하고 명치가 조이는 듯한 느낌, 계속 트림을 하고 싶은 기분이 듭니다.

호흡이 불편하고 체한 것 같은 느낌이 있으며 장염으로 착각하기도 합니다.

 

  • 외복사근 하부

서혜부에 집중된 통증입니다. 그리고 복부 전체에 여러 갈래로 확산된 통증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변비가 있다면 직장이 끊어질 듯한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 내복사근 하부

하복부의 넓은 부위에 통증이 방사되며 대장의 문제로 인해 만성적인 설사와 관련이 있습니다.

요로괄약근이 과민해지며 빈뇨, 잔뇨가 발생합니다.

서혜부위에도 통증이 생깁니다.

 

  • 복횡근

명치 부분과 앞쪽갈비뼈에 띠를 두른듯한 통증이 있습니다.

기침할 때 특히 심해집니다.

 

복부 근육의 손상 원인

내장질환이나 외상,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과도한 복식호흡의 경우 복부 근육의 과활성화로 인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위궤양, 장내기생충, 복부 수술 후에도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몸을 꼬는 자세를 자주 하거나 변비로 인해서 오랫동안 힘을 줄 때에도 손상됩니다.

다리 길이가 다르거나 골반 크기가 다른 구조적인 부적절함으로 인해 유발될 수 있습니다.

 


복사근과 복횡근의 특징, 통증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복부 근육에 통증유발점이 생긴다면 내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검상돌기나 하복부나 서혜부에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