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직근은 왕자근육이라고 불리며 사람들에게 익숙한 근육입니다. 복압을 상승시켜 척추안정화의 역할을 하며, 여성의 월경통과 내장질환과 관련 있습니다. 복직근의 역할과 통증 원인, 양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복직근 (배곧은근, Rectus Abdominis)
복직근은 치골에서 가슴의 중앙까지 배에 곧게 뻗어있는 근육입니다.
기시는 치골결합과 치골능, 정지는 검상돌기와 5~7번째 늑연골입니다.
늑간신경에 의해 지배를 받고 있습니다.
우리가 복근이 보여서 복직근이 가장 바깥에 있을 것이라고 생각을 하지만 외복사근, 내복사근이 가장 표층에 있고 그 아래에 복직근이 존재합니다.
복직근의 역할 및 기능
척추를 굴곡시킵니다.
모든 복부 근육과 마찬가지로 복압을 상승시켜서 척추안정화에 도움을 줍니다. 척추안정화를 위해서는 척추 주변에 있는 근육들도 함께 작용해야 하지만 제일 먼저 앞면에서 복근이 받쳐줘야 가능합니다.
복직근의 과도한 수축은 골반의 후방경사를 만들 수 있습니다.
굴곡이 15~45˚일 때 수축력이 최대에 도달합니다.
복직근과 협력하여 복압을 증가시키는 근육은 복사근, 복횡근, 요방형근, 횡격막이 있습니다.
복직근은 척추를 굴곡시킵니다. 그럼 복직근에 길항작용으로 척추를 젖히는 근육은 척추기립근, 특히 흉최장근의 작용이 큽니다.
복직근의 통증유발점으로 인한 통증 양상 및 증상
<상부>
검상돌기 부분과 등 쪽으로 가로로 넓게 퍼진 통증이 발생합니다. 견갑골 아래에 수평으로 띠를 두른 것처럼 통증을 겪게 됩니다.
심호흡 시에 등이 뻐근함을 느낍니다.
복직근의 문제이지만 속 쓰림, 소화불량, 매스꺼움, 구토 등으로 표현될 수 있습니다.
이는 근육의 문제가 내장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배꼽주위>
배꼽 주변에 통증을 방사하며 월경통과 관련 있습니다.
<하부>
천골과 장골, 허리에 가로로 넓게 퍼진 통증이 발생하며 여성의 월경통과 관계가 있습니다.
요로 괄약근을 경직시켜서 비뇨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복직근의 손상 원인
내장질환이나 외상, 약물, 특히 정신적 스트레스에 의해 손상됩니다.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받으면 내장이 제일 빨리 영향을 받습니다.
과도한 복식 호흡, 위궤양과 같은 질환, 장내기생충, 맹장염 복부 수술 후에도 통증유발점이 생길 수 있습니다.
갑작스러운 과부하라던지 나쁜 자세도 영향을 미칩니다.
복직근은 복압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정신적 스트레스로 인해서 통증유발점이 생길 수 있습니다. 여성의 월경통과 소화기계 질환에 관련이 있습니다.
'Anat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층 척추기립근 (Superficial Erector Spinae) 역할과 통증 원인 (0) | 2023.01.06 |
---|---|
복사근 (Oblique), 복횡근 (Transverse abdominis) 역할과 통증 원인 (0) | 2023.01.04 |
늑간근 (Intercostalis) 역할과 통증 원인 (0) | 2023.01.04 |
횡격막 (Diaphragm) 역할과 통증 원인 (0) | 2023.01.04 |
하후거근 (Serratus Posterior Inferior) 역할과 통증 원인 (0) | 2023.01.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