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tomy32 대흉근 (Pectoralis major) 역할과 통증 원인 대흉근은 라운드숄더로 인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상체 중에서도 큰 근육이며 다른 근육을 아무리 풀어도 대흉근이 단축되어 있다면 어깨를 교정하기가 어렵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대흉근의 위치와 기능, 통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대흉근 (큰 가슴근, Pectoralis major) 대흉근은 쇄골, 흉골, 복근의 건막에 붙어서 팔로 주행하는 가슴 근육입니다. 크게 상부, 중부, 하부로 나뉠 수 있습니다. 각 근육의 섬유의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가슴근육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각 근육을 나누어서 운동을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흉근의 상부는 쇄골의 안쪽 1/2에서 시작하여 아래방향으로 주행합니다. 중부는 흉골의 전체 외측에 붙어서 옆으로 이어집니다. 하부는 제2~7 늑연골과 외복사근, 복직근의 건막에 붙어서 .. 2023. 1. 2. 오훼완근 (Coracobrachialis) 역할과 통증 원인 오훼완근, 오구완근이라고도 하며 우리 말로는 부리위팔근입니다. 숨바꼭질이라는 별명이 있을 만큼 심부에 위치한 근육입니다. 오훼완근은 어깨의 굴곡, 내전, 신전을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오훼완근의 위치, 기능, 통증양상과 원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오훼완근 (부리위팔근, Coracobrachialis) 오훼완근은 심부에 위치하고 있는 근육입니다. 표층에서 보았을 때 대흉근, 이두근을 걷어내야 보일만큼 깊이 있습니다. 시작은 견갑골의 오구돌기에 부착되어서 끝은 상완골 내측 1/3 지점입니다. 신경으로는 근피신경의 지배를 받습니다. 근육의 모양이 약간 사선모양으로 주행하고 있습니다. 오훼완근이 역할 및 기능 어깨관절의 각도에 따라서 역할이 다르게 됩니다. 팔을 내린 자세에서 어깨관절이 아래로 있을 때 굴곡.. 2023. 1. 2. 대원근 ( Teres Major) 역할과 통증 원인 대원근은 광배근의 쌍둥이 근육으로 작용이 같습니다. 대원근이 뭉치면 팔을 들기 어려워집니다. 대원근이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 역할은 무엇인지, 통증 원인과 증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대원근 (큰 원근, Teres Major) 대원근은 상완골에 작용하는 기능이 광배근과 같습니다. 대원근의 시작은 견갑골의 하각과 외측연 하부 1/3에 부착되어 끝은 상완골의 이두근구 내측연에 붙습니다. 상완골은 대결절과 소결절이 있는데 이 사이를 이두근구라고 이야기합니다. 대원근은 팔의 앞면, 전면에 붙어있습니다. 신경은 견갑하신경에 지배를 받습니다. 근육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대원근은 광배근 바로 위에 위치해 있습니다. 대원근 위로는 소원근이라는 회전근개 근육이 있습니다. 대원근과 소원근 사이에는 삼두박근의 장두가 지나.. 2023. 1. 1. 삼각근 (Deltoid) 역할과 통증 원인 삼각근이 어디에 부착되어 있는지, 역할과 손상이 되는 원인과 통증 양상 및 증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삼각근의 통증은 특이한 점은 다른 부위로 확산되는 것이 적다는 것입니다. 삼각근 ( 어깨세모근, Deltoid ) 삼각근은 전면, 측면, 후면 세 가지로 나뉠 수 있습니다. 시작은 전면은 쇄골 외측 1/3, 측면은 견봉, 후면은 견갑골극의 외측에 부착합니다. 끝은 세 섬유 모두 상완골의 삼각근 조면이라는 곳에 붙고 액와신경의 지배를 받습니다. 삼각근은 가장 표층에 있는 근육이기 때문에 쉽게 촉진할 수 있고 도드라지게 보이는 부분입니다. 팔이나 등 근육이 협력하여서 함께 작용하게 됩니다. 삼각근의 역할 및 기능 전면 - 상완골을 굴곡합니다. 팔을 앞으로 드는 기능을 합니다. 팔을 수평으로 모은 상태에서.. 2023. 1. 1.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