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natomy

대퇴근막장근(Tensor Fasciae Latae) 기능, 통증, 손상 원인

by 아쟛 2023. 1. 26.

대퇴근막장근은 TFL이라고도 부르며 골반에서 무릎까지 길게 붙어있는 근육과 인대를 말합니다. TFL에 통증 유발점이 생기면 골반부터 허벅지 옆쪽에 통증이 생기게 됩니다. 그리고 골반이 틀어졌을 때 가장 많은 역할을 하는 근육이기 때문에 자주 풀어주어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대퇴근막장근의 기능과 통증, 손상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대퇴근막장근(넙다리근막긴장근, Tensor Fasciae Latae)

대퇴근막장근(TFL)은 해부학으로 보았을 때 대둔근과의 연결성이 많습니다.

위치는 asis, 위 앞엉덩뼈가시, 장골능 외측상연에서 기시하여서

장경인대에 의해 경골 외측에 정지합니다.

상둔신경의 지배를 받고 있습니다.

 

옆에서 봤을 때 무릎 측면의 외측에서 위쪽으로 주행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잘 끊어지지 않는 강력한 인대가 대퇴근막장근입니다.

 

대퇴근막장근의 기능 및 작용

고관절의 굴곡, 외전, 내회전입니다.

무릎을 90도 미만으로 굴곡하였을 때는 무릎을 신전시킵니다.

무릎을 90도 이상으로 굴곡하였을 때는 무릎을 굴곡시킵니다.

그리고 종아리는 외회전 시킵니다.

한쪽 다리로 섰을 때 중둔근과 함께 골반을 안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대퇴를 굴곡하며 협력하는 근육에는 대퇴직근, 장요근, 치골근, 앞쪽 중둔근, 앞쪽 소둔근, 봉공근이 있습니다.

 

대퇴를 신전하며 길항작용을 하는 근육에는 대둔근, 햄스트링이 있습니다.

 

대퇴부 외전에는 중둔근, 소둔근이 협력하여 작용합니다.

 

대퇴근막장근의 통증유발점으로 인한 통증 양상 및 증상

TFL이 있는 허벅지 외측에 집중된 통증을 보입니다.

고관절 옆과 심하면 무릎까지 통증이 뻗어가기도 합니다.

 

고관절 안쪽 통증이 발생하며 대전자 부위의 압통과 욱신거림을 호소하게 됩니다.

그래서 대전자낭염으로 오해하기도 쉬운 통증 증상입니다.

보행 시에 고관절이 굴곡된 채로 걷기 때문에 보폭이 짧은 걸음으로 걷게 됩니다.

풀 스쾃 동작이 불편하며 빨리 걷기가 힘듭니다.

 

대퇴근막장근의 손상 원인

- 갑작스러운 충격

- 점프 후 한 발로 착지할 때

- 경사가 심한 곳에서 과도한 조깅을 할 때

- morton's foot

- 중둔근 약화에 대한 보상작용

 


대퇴근막장근은 중둔근이 약화되었을 때의 보상작용이나 갑작스러운 충격, 구조적인 기능장애로 인하여 통증유발점이 생길 수 있습니다. TFL은 허벅지 옆쪽과 심하면 무릎까지 방사되는 통증 양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퇴근막장근에 통증유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스트레칭과 중둔근을 강화시켜 주는 것이 좋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