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위발건은 무릎의 안정성을 형성하는 근육 3가지를 합해서 거위발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거위발건 중 하나는 봉공근입니다. 봉공근은 고관절과 무릎관절을 모두 움직이는 다관절 근육입니다. 아래의 글에서 봉공근의 기능, 통증, 손상원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봉공근(넙다리빗근, Sartorius)
봉공근은 asis ~ 경골 조면의 내측까지 뻗어있는 근육입니다.
기시와 정지점을 보았을 때 고관절과 무릎관절의 움직임 모두에 관여함을 알 수 있습니다.
봉공근의 기능
고관절의 굴곡, 외전, 외회전 기능을 합니다.
고관절이 굴곡된 상태에서는 무릎을 굴곡시키고 하퇴를 내회전 시킵니다.
이때 길항작용을 하는 근육은 대퇴근막장근입니다.
대퇴부를 굴곡할 때는 대퇴직근, 장요근, 치골근, TFL과 협력하여 작용합니다.
대퇴부를 외전 시킬 때에는 중둔근, 소둔근, 이상근 TFL과 함께 기능합니다.
봉공근의 통증 양상 및 증상
심층이 아닌 표층에 통증이 생기며 피부가 아픈 느낌을 받습니다.
오래 서 있으면 이완성 긴장이 발생해서 자꾸 앉으려고 합니다.
운동범위에 제한을 가져오는 정도의 통증은 아니지만 다른 근육이 긴장되었을 때 같이 통증이 나타나게 됩니다.
봉공근 손상 요인
단독 증상은 드물며, 다른 근육에 의해서 이차적으로 나타납니다.
여성의 경우 레깅스나 꽉 끼는 속옷을 오래 입는 경우, 외측대퇴피신경의 폐색으로 감각이상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양반다리, 제기차기와 같이 근육이 짧아진 자세로 장시간 있을 경우에 손상될 수 있습니다.
하루종일 서서 일하는 경우 신장성 수축에 의해 긴장이 증가하게 됩니다.
봉공근은 무릎을 안정화시켜 주는 거위발건 중 하나입니다. 고관절과 무릎관절을 모두 움직이는 다관절근육입니다. 통증이 생겼을 때 단독보다는 다른 근육과 함께 생기며, 주로 피부 통증처럼 표층에 통증을 유발합니다.
'Anatomy'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퇴근막장근(Tensor Fasciae Latae) 기능, 통증, 손상 원인 (0) | 2023.01.26 |
---|---|
이상근(Piriformis) 기능, 통증, 손상 원인 (0) | 2023.01.26 |
중둔근 (Gluteus Medius) 역할과 통증 (0) | 2023.01.11 |
대둔근 (Gluteus Maximus) 역할과 통증 원인 (0) | 2023.01.06 |
장요근 (Iliopsoas) 역할과 통증 원인 (0) | 2023.01.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