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2

대흉근 (Pectoralis major) 역할과 통증 원인 대흉근은 라운드숄더로 인해 손상될 수 있습니다. 상체 중에서도 큰 근육이며 다른 근육을 아무리 풀어도 대흉근이 단축되어 있다면 어깨를 교정하기가 어렵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대흉근의 위치와 기능, 통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대흉근 (큰 가슴근, Pectoralis major) 대흉근은 쇄골, 흉골, 복근의 건막에 붙어서 팔로 주행하는 가슴 근육입니다. 크게 상부, 중부, 하부로 나뉠 수 있습니다. 각 근육의 섬유의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가슴근육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각 근육을 나누어서 운동을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흉근의 상부는 쇄골의 안쪽 1/2에서 시작하여 아래방향으로 주행합니다. 중부는 흉골의 전체 외측에 붙어서 옆으로 이어집니다. 하부는 제2~7 늑연골과 외복사근, 복직근의 건막에 붙어서 .. 2023. 1. 2.
오훼완근 (Coracobrachialis) 역할과 통증 원인 오훼완근, 오구완근이라고도 하며 우리 말로는 부리위팔근입니다. 숨바꼭질이라는 별명이 있을 만큼 심부에 위치한 근육입니다. 오훼완근은 어깨의 굴곡, 내전, 신전을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오훼완근의 위치, 기능, 통증양상과 원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오훼완근 (부리위팔근, Coracobrachialis) 오훼완근은 심부에 위치하고 있는 근육입니다. 표층에서 보았을 때 대흉근, 이두근을 걷어내야 보일만큼 깊이 있습니다. 시작은 견갑골의 오구돌기에 부착되어서 끝은 상완골 내측 1/3 지점입니다. 신경으로는 근피신경의 지배를 받습니다. 근육의 모양이 약간 사선모양으로 주행하고 있습니다. 오훼완근이 역할 및 기능 어깨관절의 각도에 따라서 역할이 다르게 됩니다. 팔을 내린 자세에서 어깨관절이 아래로 있을 때 굴곡.. 2023. 1. 2.
대원근 ( Teres Major) 역할과 통증 원인 대원근은 광배근의 쌍둥이 근육으로 작용이 같습니다. 대원근이 뭉치면 팔을 들기 어려워집니다. 대원근이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 역할은 무엇인지, 통증 원인과 증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대원근 (큰 원근, Teres Major) 대원근은 상완골에 작용하는 기능이 광배근과 같습니다. 대원근의 시작은 견갑골의 하각과 외측연 하부 1/3에 부착되어 끝은 상완골의 이두근구 내측연에 붙습니다. 상완골은 대결절과 소결절이 있는데 이 사이를 이두근구라고 이야기합니다. 대원근은 팔의 앞면, 전면에 붙어있습니다. 신경은 견갑하신경에 지배를 받습니다. 근육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대원근은 광배근 바로 위에 위치해 있습니다. 대원근 위로는 소원근이라는 회전근개 근육이 있습니다. 대원근과 소원근 사이에는 삼두박근의 장두가 지나.. 2023. 1. 1.
삼각근 (Deltoid) 역할과 통증 원인 삼각근이 어디에 부착되어 있는지, 역할과 손상이 되는 원인과 통증 양상 및 증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삼각근의 통증은 특이한 점은 다른 부위로 확산되는 것이 적다는 것입니다. 삼각근 ( 어깨세모근, Deltoid ) 삼각근은 전면, 측면, 후면 세 가지로 나뉠 수 있습니다. 시작은 전면은 쇄골 외측 1/3, 측면은 견봉, 후면은 견갑골극의 외측에 부착합니다. 끝은 세 섬유 모두 상완골의 삼각근 조면이라는 곳에 붙고 액와신경의 지배를 받습니다. 삼각근은 가장 표층에 있는 근육이기 때문에 쉽게 촉진할 수 있고 도드라지게 보이는 부분입니다. 팔이나 등 근육이 협력하여서 함께 작용하게 됩니다. 삼각근의 역할 및 기능 전면 - 상완골을 굴곡합니다. 팔을 앞으로 드는 기능을 합니다. 팔을 수평으로 모은 상태에서.. 2023. 1. 1.
견갑하근 (Subscapularis) 역할과 통증 원인 견갑하근은 어깨 안정화를 담당하는 회전근개 중 하나이며, 유일하게 앞쪽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오십견이라는 별명이 있을 만큼 어깨를 굳게 만들 수 있는 근육입니다. 견갑하근이 손상되었을 때 대부분의 어깨 움직임을 제한할 만큼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견갑하근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견갑하근 (어깨밑 근, Subscapularis) 팔이 빠지지 않도록 어깨를 안정되게 잡아주는 회전근개는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견갑하근 총 4개입니다. 이중에 나머지는 모두 상완골의 대결절에 붙는데, 견갑하근은 상완골의 소결절에 부착합니다. Frozen shoulder(동결견) 오십견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만큼 어깨를 굳고 움직이지 못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견갑하근의 시.. 2023. 1. 1.
소원근 (Teres minor) 역할과 통증 원인 소원근은 어깨 관절을 안정화시켜주는 회전근개 중 하나입니다. 소원근에 문제가 생겼을 때 어깨 주변에 통증이 생길 수 있으며 갑작스러운 충격을 받았을 때 손상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소원근이 하는 역할과 통증 원인과 그 양상을 알아보겠습니다. 소원근 (작은 원근, Teres minor) 소원근은 극하근 아래에 바로 붙어서 팔까지 부착되어 있는 근육입니다. 시작은 견갑골 외측 가장자리 위 2/3 지점이며 끝은 극하근의 바로 아랫부분의 상완골 대결절입니다. 액와신경, 겨드랑이 신경에 지배를 받는 근육입니다. 소원근의 역할 및 기능 소원근은 상완, 팔을 외회전, 들어 올리는 역할을 합니다. 회전근개 중 하나이기 때문에 팔이 빠지지 않도록 어깨를 안정화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리고 팔이 약 120도로 .. 2023. 1. 1.
극하근 (Infraspinatus) 역할과 통증 원인 극하근은 어깨 안정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하는 회전근개 중의 하나입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서 극하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극하근 (Infraspinatus) 극하근은 견갑극 기준으로 아래에 위치합니다. 시작은 견갑골의 극하와에서 끝은 상완골의 대결절 후면에 부착합니다. 극하근은 견갑극 아래에서 팔까지 이어진 근육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수평으로는 능형근과 층이 같습니다. 신경은 견갑상신경에 지배를 받습니다. 극하근의 기능 상완골, 팔 뼈를 외회전 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극하근은 윗섬유와 아래섬유로 나뉠 수 있는데, 윗섬유는 팔이 중립 상태에서 외회전 할 때, 아래섬유는 팔이 수평인 상태에서 외회전 할 때 주로 쓰이게 됩니다. 팔이 외전할 때 팔과 어깨의 충돌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극하근의 통증유발.. 2023. 1. 1.
극상근 (Supraspinatus) 역할과 통증 원인 회전근개라는 말을 한 번쯤은 들어보셨을 거라 생각합니다. 회전근개는 팔이 어깨에 잘 붙어있을 수 있도록 안정적으로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근육입니다. 회전근개에는 극상근, 극하근, 소원근, 견갑하근이 있습니다. 이 중에 이번 포스팅에서 극상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극상근 (Supraspinatus) 극상근은 어깨관절을 안정화시켜주는 회전근개 중 하나입니다. 시작은 견갑골의 극상 와 내측 2/3입니다. 견갑골에서 견갑극 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끝은 상완골, 팔 뼈의 대결절 위쪽에 붙습니다. 극상근은 견갑골 위에서 시작하여 견봉 아래를 거치고 상완골에 붙는 근육입니다. 상완골의 대결절에는 극상근뿐만 아니라 극하근, 소원근도 붙어 있습니다. 극상근의 기능 팔의 외전, 밖으로 벌리는 것을 돕는데 초기 30도.. 2023. 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