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2

소흉근 (Pectoralis Minor) 역할과 통증 원인 가슴 근육은 두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대흉근과 소흉근입니다. 소흉근은 대흉근 아래에 있는 작은 근육으로 호흡에 관여하며 견갑골의 움직임에 영향을 주는 근육입니다. 소흉근 (Pectoralis Minor) 소흉근은 작은 가슴근이라고도 합니다. 시작은 3~5 늑골에 붙어서 견갑골의 오구돌기에 붙습니다. 오구돌기는 부리같이 생겼다고 해서 부리돌기라는 말도 있습니다. 늑골에서 오구돌기까지 대각선으로 생긴 근육이며 내측흉신경과 외측흉신경에 지배를 받습니다. 늑골에 붙어있기 때문에 흡기 시에 호흡을 보조하는 역할을 합니다. 소흉근의 기능 견갑골을 앞, 아래, 안쪽으로 당기는 역할을 합니다. 대각선으로 부착되어 있는데 부착되어 있는 반대로 움직인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소흉근이 강하게 수축할 때 관절오목을 앞쪽 아.. 2022. 12. 31.
능형근 (Rhomboid) 역할과 통증 원인 이번 포스팅에서는 능형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우리가 자고 일어났을 때나 컴퓨터 작업을 하던 도중 등이 담 걸린 것 같이 쑤시다는 경험을 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그 원인인 근육이 능형근입니다. 능형근 (Rhomboid) 능형근은 대능형근과 소능형근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런데 둘이 작용이나 위치가 비슷하기 때문에 굳이 따로 구별을 하지는 않습니다. 대능형근은 T1~T5의 극돌기에서 시작하여 견갑골의 극삼각에서 견갑극근 하각까지 부착됩니다. 소능형근은 C7~T1의 극돌기에서 시작하여 견갑골의 내측면에 붙습니다. 그래서 능형근은 C7~T5까지 척추부터 시작하여 견갑골에 붙은 근육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능형근의 역할 극돌기가 고정되었을 때, 능형근이 수축하게 되면 견갑골을 올리고 안으로 모으는 내전.. 2022. 12. 31.
전거근 (Serratus anterior) 역할과 통증 원인 전거근은 우리 몸의 옆구리의 갈비뼈에 톱니바퀴처럼 부착되어 있는 근육을 말합니다. 어깨의 움직임에서 전거근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전거근의 시작과 끝은 어디이며 하는 역할, 통증의 원인과 부위, 손상되는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전거근 (Serratus anterior) 전거근은 갈비뼈와 견갑골에 부착되어 있는 근육입니다. 전거근의 앞으로는 복근, 뒤에는 광배근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전거근의 기시는 상부는 1~2번, 중부는 3~4번, 하부는 5~9번 늑골에 부착되어 있습니다. 다시 말해서 12개의 갈비뼈 중에서 1~9번째 갈비뼈에 부착되어 있으며 몸통 옆부분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정지는 상부는 견갑골 중에 상각 부분, 중부는 견갑골의 내측연, 하부는 견갑골의 하각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전체적으로.. 2022. 12. 30.
사각근 (Scalenus) 역할과 통증 원인 사각근 사이로는 신경이 지나가기 때문에 뭉쳤을 경우 임상적인 증상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호흡과도 연관이 깊은 사각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사각근(목갈비근, Scalenus) 사각근은 The Entrappers(신경올가미)라는 별명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사각근 사이로 상완신경총이라는 신경이 지나가는데 사각근이 이 신경을 올가미처럼 옭아맨다는 뜻에서 붙여진 별명입니다. 사각근 사이로는 신경이 지나감에 따라 사각근 증후군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입니다. 사각근은 전부, 중부, 후부로 나뉠 수 있습니다. 전부의 시작은 C3~C6의 횡돌기, 중부는 모든 경추의 횡돌기, 후부는 C5~C7의 횡돌기에 붙습니다. 사각근은 모두 경추에 붙어서 시작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끝은 중부와 전부는 제1늑골, 후부는 제2늑골.. 2022. 12. 29.
견갑거근 (Levator scapulae) 역할과 통증 원인 견갑거근(어깨올림근)에 통증유발점이 생겼을 때 목, 어깨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목통증과 관련하여 견갑거근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견갑거근(어깨올림근) Levator scapulae 견갑거근은 stiff neck(경직된 목)이라고도 불립니다. 승모근이 목과 어깨 통증의 주된 원인인데, 승모근 다음으로 통증을 유발하는 근육입니다. 견갑거근은 C1~C4의 횡돌기, 측면에 붙어서 견갑골의 상각까지 부착되어 있습니다. 일렬로 있는 것이 아닌 꼬여 있는 모양입니다. 견갑거근의 역할 한쪽만 작용 - 견갑골이 고정되어 있을 때는 작용하는 쪽으로 목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목이 고정되어 있는 경우 견갑골을 하방회전 시킵니다. 능형근과 같은 작용을 한다고 보면 됩니다. 양쪽 다 작용 - 목을 고정시켰을 때 .. 2022. 12. 29.
흉쇄유돌근 (Sternocleidomastoid) 역할과 통증 원인 현대인들이 많이 앓고 있는 거북목, 일자목과 흉쇄유돌근의 연관성은 깊습니다. 거북목, 일자목의 큰 원인 중 하나는 흉쇄유돌근이 짧아져있기 때문입니다. 흉쇄유돌근(목빗근, sternocleidomastoid) 흉쇄유돌근은 흉골과 쇄골에서 시작하여 유양돌기까지 이어진 근육이며, Amazingly Complex(놀라운 복합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왜 붙여진 이름일까요? 흉쇄유돌근에는 통증유발점(TP)이 여러 부분 있습니다. 이 TP가 가슴, 턱, 얼굴, 이마, 목, 장기까지 통증을 일으키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흉쇄유돌근 또한 가슴에서 머리까지 부착되어 있습니다. 흉쇄유돌근의 시작과 끝 부분 측두골의 유양돌기에서 흉골로 뻗어가는 갈래, 쇄골로 뻗어가는 갈래가 있습니다. 흉골로 뻗어가는 갈래는 흉.. 2022. 12. 29.
승모근 : 통증 증상과 해결 방법 앞선 포스팅에서는 승모근의 역할과 통증 원인에 대하여 다루어 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통증 증상과 해결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통증 증상에 대해 알아보기에 앞서 TP에 대해서 먼저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TP는 triger point라고 해서 통증 유발점을 이야기합니다. 우리 몸의 근육은 통증유발점과 통증이 일치하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통증 유발점은 전혀 다른 곳인데 방사되어 통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승모근도 여러 방면으로 방사되어 통증이 나타나는 근육 중 하나입니다. 그렇다면 승모근의 통증 증상은 어디까지 방사가 되며 어떤 통증일까요? 승모근 통증 증상 승모근하면 주로 목 뒤쪽과 어깨 부분을 이야기합니다. 목이 무거운 느낌도 들고 뼈가 아픈 것 같다고 표현하는 압통이.. 2022. 12. 27.
승모근 : 역할과 통증 원인 ( 목, 어깨 통증 ) 현대인들의 삶은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등의 전자기기에 익숙해져 있습니다. 처음에는 괜찮지만 장시간동안 사용하는 경우 목이 점점 앞으로 나가면서 승모근에 무리를 주게 됩니다. 그리고 라운드 숄더와 거북목, 일자목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습관처럼 장기간동안 승모근 통증을 호소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승모근이 하는 역할은 무엇이며 통증의 원인을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승모근이 무엇이고 어디에 위치하고 어떤 작용을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승모근( 등세모근, Trapezius ) 승모근은 상부, 중부, 하부로 나뉠 수 있으며 마름모 꼴의 모양입니다. 모양이 옷걸이 같아서 옷걸이( The coat Hanger )라는 별명도 가지고 있습니다. 승모근을 통하여서 사람의 머리를 받치고 있기 때문에 거북목이나.. 2022. 1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