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2

봉공근(Sartorius) 기능, 통증, 손상원인 거위발건은 무릎의 안정성을 형성하는 근육 3가지를 합해서 거위발처럼 생겼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거위발건 중 하나는 봉공근입니다. 봉공근은 고관절과 무릎관절을 모두 움직이는 다관절 근육입니다. 아래의 글에서 봉공근의 기능, 통증, 손상원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봉공근(넙다리빗근, Sartorius) 봉공근은 asis ~ 경골 조면의 내측까지 뻗어있는 근육입니다. 기시와 정지점을 보았을 때 고관절과 무릎관절의 움직임 모두에 관여함을 알 수 있습니다. 봉공근의 기능 고관절의 굴곡, 외전, 외회전 기능을 합니다. 고관절이 굴곡된 상태에서는 무릎을 굴곡시키고 하퇴를 내회전 시킵니다. 이때 길항작용을 하는 근육은 대퇴근막장근입니다. 대퇴부를 굴곡할 때는 대퇴직근, 장요근, 치골근, TFL과 협력하여 작용합.. 2023. 2. 14.
대퇴근막장근(Tensor Fasciae Latae) 기능, 통증, 손상 원인 대퇴근막장근은 TFL이라고도 부르며 골반에서 무릎까지 길게 붙어있는 근육과 인대를 말합니다. TFL에 통증 유발점이 생기면 골반부터 허벅지 옆쪽에 통증이 생기게 됩니다. 그리고 골반이 틀어졌을 때 가장 많은 역할을 하는 근육이기 때문에 자주 풀어주어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대퇴근막장근의 기능과 통증, 손상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대퇴근막장근(넙다리근막긴장근, Tensor Fasciae Latae) 대퇴근막장근(TFL)은 해부학으로 보았을 때 대둔근과의 연결성이 많습니다. 위치는 asis, 위 앞엉덩뼈가시, 장골능 외측상연에서 기시하여서 장경인대에 의해 경골 외측에 정지합니다. 상둔신경의 지배를 받고 있습니다. 옆에서 봤을 때 무릎 측면의 외측에서 위쪽으로 주행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잘 .. 2023. 1. 26.
이상근(Piriformis) 기능, 통증, 손상 원인 이상근 천골과 고관절의 통증을 일으키는 주범인 근육입니다. 고관절을 외회전 시키는 근육들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 이상근의 기능과 통증 양상, 손상이 되는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상근(궁둥구멍근, Piriformis) 이상근은 천골앞쪽, 대좌골 절흔에 기시하여 대전자의 상면에 정지합니다. 대전자 상면 중에서도 가장 위쪽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쉽게 생각해서 천골 앞부분에서 대전자의 윗면까지 위치하고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위치는 중둔근 바로 밑에 존재하며 소둔근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고관절 외회전근들과 위치가 가깝고 골반저근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이상근의 기능 및 작용 주된 기능은 고관절 외회전과 외전입니다. 이상근은 심부에 존재하며 대퇴골두를 지지하여서 고관절의 안정화에 관여하.. 2023. 1. 26.
중둔근 (Gluteus Medius) 역할과 통증 중둔근은 보행 시에 골반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며 통증유발점이 생겼을 때 허리 통증까지 뻗어나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 중둔근의 역할과 기능, 통증 양상과 원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중둔근 (중간볼기근, Gluteus Medius) 중둔근은 가리비모양처럼 생겨서 골반의 옆에 붙어있습니다. Lumbago Muscle이라는 요통근육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으며 통증이 허리까지 방사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기시는 장골능선 아래쪽이며 장골의 바깥면에서 시작하여서 대전자의 외측면에 정지합니다. 대둔근과는 다른 정지점을 보입니다. 중둔근의 역할 및 기능 고관절을 외전 시키는, 엉덩이를 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보행 시에 한쪽 발이 들렸을 때 딛고 있는 발의 반대쪽 골반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합니다. 중둔근이 제대로 .. 2023. 1. 11.
대둔근 (Gluteus Maximus) 역할과 통증 원인 대둔근은 엉덩이 근육 중에 가장 큰 부위이며 보행 시에 골반을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통증이 생기면 골반 주변에 생기게 됩니다. 이번 글에서 대둔근의 역할과 통증 양상 및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대둔근 (큰 볼기근, Gluteus Maximus) 대둔근은 골반의 여러 부위에 붙습니다. 장골의 바깥면, 천골과 미골의 뒷면, 천골결절인대, 척추기립근의 건막에 붙어서 대퇴근막의 장경인대, 대퇴골 둔근 조면에 정지합니다. 하둔신경의 지배를 받습니다. 대둔근의 역할 및 기능 고관절의 신전과 외회전 작용을 합니다. 다리가 고정되어 있다면 골반후경사를 유발합니다. 대둔근의 위쪽 섬유는 고관절의 외전, 아래쪽 섬유는 내전의 역할을 더 합니다. 그래서 다리를 넓게 해서 와이드 스쾃을 하면 엉덩이 위쪽, 다리를 .. 2023. 1. 6.
장요근 (Iliopsoas) 역할과 통증 원인 장요근은 자주 앉아 있는 사람에게 통증을 유발하기 쉬운 근육입니다. 장기보다 깊이 있으며 주로 요통을 일으킵니다. 장요근은 대요근과 장골근을 함께 부르는 말인데, 이번 글에서 장요근의 역할과 통증 원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장요근 (허리엉덩근, Iliopsoas) 장요근은 대요근과 장골근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대요근(psoas major) 대요근의 시작은 모든 요추의 횡돌기, 12번째 흉추, 요추와 요추의 추간판에 붙어서 대퇴골의 소전자에 부착합니다. 대퇴골의 소전자는 앞이 아닌 약간 뒤쪽에 위치합니다. L2~L4 신경의 지배를 받습니다. 장골근(iliacus) 장골근의 시작은 장골 와의 위쪽 2/3입니다. 장골능의 오목한 곳의 위쪽입니다. 대요근과 마찬가지로 대퇴골의 소전자에 정지하고 있습니다. .. 2023. 1. 6.
요방형근 (Quadratus Lumbolum) 역할과 통증 양상 요방형근은 허리네모근이라고 하며 갈비뼈에서 골반까지 연결된 근육입니다. 요통과 관련이 깊으며 휴식 시에도 통증을 일으키는 근육입니다. 이번 시간에 요방형근의 역할과 통증 양상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요방형근 (허리네모근, Quadratus Lumbolum) 시작은 장요인대, 장골능에 붙어서 정지는 12번째 갈비뼈와 L1~L4,5 횡돌기에 부착합니다. 요방형근의 역할 및 기능 한쪽만 작용할 경우 척추가 고정되어 있을 때 골반을 같은 쪽 가쪽으로 기울입니다. 골반이 고정되어 있을 때에는 척추를 같은 쪽으로 굽히게 됩니다. 어디가 고정됐는지에 따라 다릅니다. 양쪽 모두 작용할 경우 들숨과 날숨 시에 호흡을 보조합니다. 요방형근은 12번째 갈비뼈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숨을 들이쉬고 내쉴 때 갈비뼈를 고정해서.. 2023. 1. 6.
심층 척추기립근 (Deep erector spinae) 역할과 통증 원인 심층 척추기립근 또한 요통이라는 별명이 있을 만큼 허리통증의 주범입니다. 허리뿐만 아니라 천장관절 쪽, 뼈가 아픈 듯한 통증을 유발합니다. 이번 글에서 심층 척추기립근의 역할과 기능, 통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심층 척추기립근 (Deep erector spinae) 심층 척추기립근은 요통을 일으키는 주범이 되는 근육입니다. 반극근, 다열근 회선근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반극근은 경추, 흉추의 횡돌기에서 시작해서 극돌기까지 대각선방향으로 주행하는 근육입니다. 다열근은 천골, 요추, 경추까지 붙어있습니다. 회선근은 제일 심부에 있습니다. 심층 척추기립근의 역할 및 기능 양쪽 모두 작용할 경우 표층 척추기립근과 마찬가지로 척추를 신전시킵니다. 한쪽만 작용할 경우 표층 척추기립근과는 다르게 척추를 반대로 회.. 2023. 1. 6.